하우스내
밑거름(기비작업) 은
한해 농사및 하우스 수명을 결정지을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며
자칫 축분 및 복합비료,포대기 퇴비의 오남용으로 인한
선충발생, 토양 염류집적, 연작장해를
유발하여 농산물 수확에 많은 영향을 끼쳐 토양을 황폐화 시키며 수확량을 반감 시킬수있는 중요한 원인이오니
아래표를 참조 하시어 기비(밑거름) 작업시 참고 자료로 활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토양 선충이 발생하는 토양이라면 축분사용을 최대한 자제해주시길 바랍니다.
미부숙퇴비의 경우 작물정식전 선충의 먹이 역활을 하게됩니다.
또한, 퇴비선정이전 토양검사를 필히하시어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화학비료 양이 부족할 것으로 인식해 우분 퇴비를 과다하게 살포하게 되면
모종 정식 후 말라 죽는 포기가 많아지고,
수확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특히 이런 경우는 토양 내 인산과 칼륨 등 양분 축적이 많이 일어나 토양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과다한 퇴비사용은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보다 많은 인과 칼륨의 공급으로
이어져 토양 염류를 증가시키고
생육까지 억제하는 부작용이 발생해 품질과 수량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합니다.
**토양 검사후 필수적으로 준비 해야 하는것.
1. 유기물(50% 이상 유기물,유박, 완전 부숙 퇴비중 1택..)
** 콤비파워,유박, (축분, 포대기 거름, 부산물 퇴비 살포 자제)
2. 입상 미생물(폭신폭신 등...) : 토양 유용 미생물 활동 강화
3. 입상 붕사
4. 석회 고토(황산 고토): 수확시기 곤봉과 발생 역제,엽록소 형성 강화
5. 입상 규산(순도98% 이상) : 내병성 강화 및 도장 억제
6. 충제 및 균제
7. 복합비료
** 염류집적과 근권미생물의 뿌리분포
○ 인위적으로 염류농도를 다르게 조절한 토양에 오이를 재배하여 뿌리에 살아있는 미생물을 분리한 결과는 염농도 0.8dS/m보다 5.2dS/m로 높게 조절한 토양에서 그람음성세균, 형광성 P슈도모나스속 세균의 균수가 감소하고, 병원성 후사리움균, 사상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작물뿌리에서도 토양에서 조사한 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염류가 집적된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토마토의 근부병(뿌리 썩음병)이라든지 오이의 덩굴 쪼김병이 많이 발생된 것을 목격할 수가 있는데, 이와같은 현상은 높은 염농도에 의한 뿌리장해와 함께 이병되기 쉬운 뿌리부패성 사상균(곰팡이성 병원균)수의 증가가 병해의 다발성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염류가 집적된 토양에서는 뿌리부패병에 이병되기 쉬운 작물은 연작을 하지않는 작부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동안의 작물생육 실험을 해본 결과 가장 중요한것은 1. 토양관리, 2. 모종선택
3. 비료 선택및 생장관리로 나눌수 있었는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것은 토양관리가 우선되지 않고서는
어떠한 작물을 심든지간에 어려움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적정퇴비 살포와 염류집적 해소만이 건전한 생육을 활성화하는 길이오니
부디 염류집적 해소와 뿌리발근에 최대한 노력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석회고토(황산고토) 종류는
다른 유기물이나 화학 비료와 같이 살포하지 마시고
화학비료 살포 2주전에 꼭 살포해 주세요.
그리고 토양 산도 교정이 목적이라면
최소한 1달전에 살포해주시길 바랍니다.
동운 작물컨설팅, 역병방제, 오이재배력,발근제,뿌리발근제,뿌리성장 촉진제,사과,냉해,냉해박사
고추재배력, 선충방제, 시험포운영,네마톡스,생명수,오이,연작장해,염류집적, 생와사비,유기칼,
염류다운,비티-101,떼알로,애호박,땅울림,염류장해,서리예방,선충,선충방제,선충 억제제,
토마토,착색제,비대제,수량증대,산소수,뿌리 발근,역병,냉해방지,칼슘미생물,지력향상,냉해박사,미생물배양,토미토 청고,관주용비료,애호박,염류장해,사계(냉해방지및 갈반방지제), 토양산도,곤봉과,잘록과,뾰족과,어깨빠진과,바이러스,토양PH, 파이프가격,멧되지퇴치기,H2O2, 옥시풀,과산화수소,
수산화가리,뿌리기픈,키타살,휴메인,보화라,착색제,당도제,하우스밑거름
010 - 3279 - 6137,동운 농업컨설팅
'오이 관리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다기 오이 내림 재배 넝쿨 관리 (다치엔투) (47) | 2023.02.21 |
---|---|
세균성 점 무뉘병 (0) | 2021.09.04 |
오이 생육진단및 관리요령 (0) | 2016.01.13 |
[스크랩] 은침백다다기오이 핵심 재배기술 (0) | 2009.09.30 |
[스크랩] 조은 백다다기오이 특성과 핵심재배기술 (0) | 2009.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