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파트너 선택이 평생농사 수입을 좌우 합니다.
유튜브 에서 #동운농자재 라고 치심 저희들 자료를 볼수 있습니다.
동운농자재 는 물건 한두개 들고 다니며 농민을 유혹 하는 장사꾼이 아니라 농가에 도움되는 농사 기술 과 함께 합니다.
aaaldh.tistory.com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온도
오이는 비교적 시원한 온도를 좋아하고 온도 교차나 온도 변화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생육적온은 주간 22∼28℃, 야간 15∼18℃이며 밤과 낮의 온도 차이는 7∼10℃ 내외가 적당하다. 35℃ 이상의 고온과 5℃ 이하 의 저온에서는 생육이 중지되고 0℃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면 얼어 죽는다.
또한 오이는 지온에도 비교적 민감하여 12℃ 이하에서는 생육이 정지되므 로 적어도 15℃ 이상은 유지시켜야 하며, 25℃ 이상이 되면 줄기와 잎이 웃 자라게 되고 노화를 촉진시켜 재배기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지온은 20∼ 23℃ 전후가 적당하다
광
오이의 광포화점(光飽和點)은 40∼55klux이고 광보상점(光補償點)은 1klux로 비교적 약한 광에서도 생육은 잘되는 편이나 수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일조부족은 품질과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온 시설재배나 밀식재배의 경우 햇빛이 너무 약하면 과실 자람이 늦고 곁가지 의 발생이 감소하며 기형과의 발생이 증가한다. 따라서 시설재배 시 품질과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환경 개선에 노력 해야 한다. 특히 하루 중 광합성에 의한 동화건물량의 71% 이상이 오전 중에 생산되므로 오전에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습도
오이는 비가 오는 시기에 생육하는 원산지의 습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중습도가 중요한 생육환경 조건의 하나이다. 특히 건조에 민감하고 공중 습도가 너무 낮으면 잎과 줄기의 생육이나 과실의 비대가 현저히 억제된다. 유리온실보다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오이의 품질이 더 좋은 것은 광이나 온도 이외에 습도환경의 중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오이에 알맞은 습도는 주간 70∼80%, 야간 90% 정도로 다른 과채류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러나 습도가 너무 높게 되면 회색곰팡이나 노균병 등 각종 병해 발생은 물론 증산량 감소에 따른 생리장해가 쉽게 발생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탄산가스
대기 중에는 300ppm(0.03%) 정도의 탄산가스가 존재하며, 이것이 광 합성에 의해 생성된 탄수화물의 공급원인이 된다. 탄산가스와 광은 어느 정도까지 농도가 높아지거나 강할수록 광합성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데, 겨울철의 시설재배처럼 약한 광에서도 탄산가스 농도를 높이게 되면 광합 성이 왕성해지게 된다.
즉 탄산가스 시용은 어느 정도의 약광을 보충해 준 다. 대부분 시설재배의 경우 야간부터 다음날 환기할 때까지는 밀폐 상태 가 되어 탄산가스 농도가 외기 농도의 1/2 정도까지 저하되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오이는 탄산가스 기아(飢餓)상태가 되며, 광합성 작용도 1/3∼ 1/4까지 낮아진다. 따라서 CO2를 보충해 주고 광합성 작용을 촉진하기 위 해서 해가 뜬 후 30분에서 2∼3시간 동안 맑은 날에는 900∼1,200ppm, 흐린 날에는 500∼600ppm 정도로 조절하여 탄산가스를 시용해준다.
토양
오이의 뿌리는 표토로부터 15∼30cm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이처럼 다른 채소와는 달리 천근성(淺根性)으로 뿌리가 얕게 분포하기 때문에 산소의 요구량이 크며 건조나 다습에 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오이 뿌리가 깊고 넓게 자랄 수 있도록 토양환경을 잘 만들어 주는 것이 오이 다수확 재배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기물을 충분히 사용하고 적당한 토양수분 상태가 유지되면 비교적 모든 토양에서 잘 생육하나, 식양토에서 생산성이 높으며 토양관리도 쉽다. 일반적으로 점질토양에서는 생육이 늦고,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는 생육과 노화가 빠르다. 토양산도는 약산성에서 중성으로 pH 5.5∼6.8이 적당하다.
뿌리는 과습을 싫어하지만 수분 소비량은 많기 때문에 수분부족에 매우 약한 편이다. 생육에 적당한 토양수분은 pF 1.7∼2.3이며, 모래땅에서는 pF 1.4. 점질토양에서는 pF 1.8 부근에서 뿌리 자람이 양호하다.
오이는 토마토나 피망 등에 비하여 고농도 염류에 약한 편이며, 생육이 저해되는 한계 전기전도도(EC)는 모래땅에서 0.6mS/cm, 질참흙(식양토) 에서 1.5mS/cm 정도이다. 최근 시설재배 시 이어짓기와 장기재배로 비료의 시비량이 많은 경향이 있으며, 토양 중 염류집적이 증가하고 있어 생육장해가 발생할 염려가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자료 출처 : 농사로
www.동운농자재.com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동운농자재
농작물 컨설팅 전문업체 비료, 연작장해, 관주용액비, 유인추, 선충 등 취급
www.동운농자재.com
#토경재배 #염류집적 #뿌리발근 #연작장해 #좋은품질 #미량요소 #정식당일 #점적호스 #오이생육#오이정식#오이적심 #오이피클 #오이병해충 #흰가루병 #오이바이러스 #오이차먼지응애 #오이총채 #오이순지르기 #오이발근제 #오이비대제 #오이비료#오이액비 #오이수확 #오이양액 #오이곤봉과 #오이뾰족과 #오이비료 #오이컨설팅 #오이농사 #오이가격 #오이흰가루병 #오이잿빛무뉘병 #오이세균성점무뉘병 #오이생육 #오이기비 #오이성장 #오이수확
#토경재배
#염류집적
#뿌리발근
#연작장해
#좋은품질
#미량요소
#정식당일
#점적호스
#오이생육
#오이정식
#오이적심
#오이피클
#오이병해충
#흰가루병
#오이바이러스
#오이차먼지응애
#오이총채
#오이순지르기
#오이발근제
#오이비대제
#오이비료
#오이액비
#오이수확
#오이양액
#오이곤봉과
#오이뾰족과
'오이 관리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 원순 재배 방법 (3) | 2024.10.24 |
---|---|
오이 측지 키우기 방법 (0) | 2024.10.24 |
농사도 이제는 과학 입니다 (0) | 2024.09.20 |
가시오이 와 애호박재배 노하우 (1) | 2024.09.05 |
오이 재배법 과 다수확 노하우 (0) | 2024.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