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동운농자재 ( 작물 생육 컨설팅 전문 ) 010-3279-6137
사과원 관리요령

사과 시기별 관리 방법

by 동운농업컨설팅 2024. 7. 27.

 

#열과방지제 #열과예방 #열과대책 #열과방지약 #열과예방약 #열과 #레드향열과 #감귤열과 #열과막는법 #사과열과 #포도열과 #열과레드향 #샤인머스켓열과 #프룬열과 #자두열과 #복숭아열과 #수박열과 #참외열 #대추열과방지 #감귤열과방지제 #레드향열과방지제 #천혜향열과방지제 #사과열과방지제 #포도열과방지제 #샤인머스켓열과방지제 #열과방지제 #열과현상 #열과 #노지감귤열과 #감귤열과방지제 #열과대책

 

순간의 선택이 평생농사 를 결정 합니다

aaaldh.tistory.com

 
사진 삭제링크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동운농자재 (과채류 & 과수 전문컨설팅) 010-3279-6137

동운농자재 에서 취급 하는 대부분의 제품은 철저한 검증을 거친 일본산 수입 제품 입니다. 한번 맺은 작은 인연도 소중하게 생각 하는 동운농자재 가 되겠습니다. 늘 감사 드립니다 010-3279-6137

aaaldh.tistory.com

동운농자재 가 유튜브 를 시작 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 좋아요 꼭 부탁 드립니다. 감사 합니다

유튜브 검색창 에서 동운농자재 를 검색해 주세요

www.동운농자재.com​

 

 

 

 

아래에 제품별 가격표를 나열 하였사오니 구입 하시는대

도움이 될수 있기를 바라며 의문점 발견시 연락 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1.냉해 아웃(냉해방지제)- 20병/BOX (20,000원)=400,000

2. 빅그로우 (비대제)-20병/BOX (30,000원)=600,000

3. 하이포셀 (종합영양제)-20병/BOX (20,000원)=400,000

4. 액상 규산( 갈반방지)-30병/BOX (10,000원)=300,000

5. 참뿌리파워 (뿌리 발근제)- 20병/BOX (25,000원)=500,000

6. 스피드칼라 (착색제&당도제)-20병/BOX (30,000원)=600,000

7. 유기칼 (고두병 방지)-30병/BOX (15,000원)=450,000

8.열과 뚝 (열과방지)-30병/ (25,000원)/BOX =750,000

   6월중순 부터 9월 월2~3회 살포

9. 제로황 (황 소독용)-20병BOX (30,000원)=600,000

 

이상 9가지 정도만 있음 사과,배,복숭아,대추 농사 완료

규산 제외 제품은 충제 및 균제 혼용 가능 하며 25말용 임 살포전

필히 상담 요망

 

010-3279-6137, 054-638-6137

 

과수 농사(사과,배,감,복숭아,자두,대추,포도 ...)를 지으시면서

까다롭게 선택하는것이 영양제 종류입니다.

여러회사 에서 각종 제품들이 난무하여 농사를 지으시는분의 혼선을

야기 하기도 합니다.

동운농자재 제품은 15년간의 현장 경험과 일본 직송 수입

그리고 국내 현장 에서 5년 이상 테스트 한 제품만을 판매 합니다.

동운농자재 에서 특히 #사과 에 대하여 전문기관 과 협력 하여 매년 테스트를 실시하며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고 있습니다.

 

 

 

* 시기별 살포 하는 시기는 아래표 참조

 

 

 

 

 

아래 자료는

"작물보호연구소"소속

동운 농업 컨설팅,사과전문기관,케이비티 에서 사과 과수원을 중심으로

 

최근 5여년에 걸쳐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산출한 자료이오며

아울러 본 자료는 경북 지방을 중심으로 작성한것이므로

다른 고장에서는 날짜를 조정하시어 살포시기를 맞추어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경북 영주 봉화 ,단양 지방을 중심으로 농가보급및 실험을 계속 시행하여

과수농가에 보다 나은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해 드릴것을 약속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과 1년별 영양제 살포 횟수

 

1. 빅그로우(사과전용 비대제): 년 2회

2. 하이포셀 (5종 복합 영양제) : 년 3회

3. 퍼팩트 칼 &유기태 칼슘 (유기산 칼슘) : 년 4회

4. 당찬규산&단단규산 (액상 규산/25말)) : 년 2회

5. 스피드 칼라(착색,당도제) : 년 2회

6. 냉해아웃 (냉해방지,서리방지) : 년 1~2회

7. 열과 뚝 (열과 방지제) 년 2~3회

** 위 제시 방법은 년10회 방제법이며

날씨,온도,나무수세 에 따라 증감 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과,복숭아,대추,자두,감,배,포도 (과수 전용 비대제)

사과 비대촉진제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5종 복합 종합 영양제(아미노산,칼슘,마그네슘 다랑함유)

생식 생장전환, 생리장해 극복,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유기산 칼슘) 사과 고두병 예방 제재

칼슘 함유량 25% 이상

흡수가 빠르고 체내 이행성이 높음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튼튼규산( 중성 규산) 장마기 갈반 예방 및 잎 충실

모든 농약 및 영양제 와 혼용 가능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과수, 과채류, 엽채류 전용 착색당도 증진 제재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황 소독, 살균 효과, 흰가루병 예방 및 방제 제재

친환경 농가 에서도 사용 가능한 제품 입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과,복숭아,배.대추,토마토,과채류

열과 방지용 제품

사과의 경우 6월중순 부터 9월 말 까지 월2~3회 살포

과일열과방지제(사과,포도,대추,복숭아,자두,감귤,레드향 등등)

 

1. 밀의 증상

과심부와 유관속 주변의 과육조직이 꿀물이 들어 있는 것처럼 황색을 띈다. 이 현상은 과심부와 유관속 주변 과육조직의 세포간극이 당의 일종(당 알콜)인 솔비톨(sorbitol)이 함유된 액체로서 채워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모습이다.

 

2. 발생되기 쉬운 품종

'홍로' 품종에서 아주 심하고 '후지', '홍옥', '델리셔스' 등의 품종에서도 발생이 많다. 품종에 따른 증상의 차이를 보면 '후지'에서는 과심부 쪽으로, '델리셔스' 등에서는 과육부 쪽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

 

3. 발생기구

사과에서는 잎에서 합성된 동화산물(탄수화물)의 많은 양이 솔비톨의 형태로 바뀌어 과실로 옮겨온다. 아직 성숙하지 않은 과실에서는 과실내에서 솔비톨이 과당(果糖) 등으로 다시 바뀌어 세포의 액포내에 저장된다. 그런데 과실의 성숙이 진행되면 과실로 이행해오는 솔비톨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 무렵에는 솔비톨이 과당 등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어린 과실일 때보다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므로 솔비톨의 형태 그대로 과실 세포의 안과 세포간극 중에 다량 축적하게 된다. 솔비톨은 삼투압이 커 수분을 끌어 모으는 힘이 강하므로 솔비톨이 축적된 세포간극에는 다량의 수분이 집적되어 우리 눈에 꿀물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다.

 

4. 발생요인

과실의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과실 중에 축적되는 솔비톨의 양이 증가하므로 밀 증상의 발생이 많아진다. 또 큰 과실일수록, 1과당 엽 수가 많을수록, 결실이 시작된 지 얼마 안 되는 젊은 나무의 과실일수록, 그리고 수관의 위쪽이나 바깥쪽에 위치하여 광을 잘 받는 과실일수록 발생이 많다. 생육시기의 기상조건과 밀 발생과의 관계를 보면 성숙기 가까이에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고온이며, 밤낮의 기온교차가 큰 경우, 그리고 강한 일사를 받는 과실에서 발생이 많다. 또한 성숙 후기에 서리가 빈번히 오는 경우에도 발생이 많다고 한다. 영양상태와 밀 발생과의 관계를 보면 질소 함량이 높은 과실, 붕소 함량이 높은 과실, 칼슘 함량이 낮은 과실에서 발생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 밀 증상이 심한 경우 과육이 갈변하는 이유

과실은 수확후에도 호흡을 영위하므로 과실세포 속으로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그런데 세포간극은 세포속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밀 증상이 심하여 세포간극에 솔비톨이 함유된 액체로서 가득 채워지게 된 과실을 장기저장 하면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가 막혀 있는 과실을 저장하는 셈이므로 과실세포는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호흡대사에 이상을 일으켜 과육이 갈변하게 된다.

 

6. 밀 발생 정도와 저장성과의 관계

밀이 들어 있는 정도는 과실을 가로로 절단하여 판단한다. 밀 발생정도를 지수로서 나타낸 밀 증상 지수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다.

밀 발생정도와 저장성과의 관계를 조사한 보고들을 보면 수확시 1~2정도의 밀 증상 지수를 갖는 과일들을 장기저장 하면 저장 동안 밀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밀 증상의 발생정도가 그보다 심한 경우에는 장기저장동안 내부갈변현상이 밀 증상의 정도와 비례하여 심하게 발생된다. 밀 증상의 발생정도와 내부 갈변 발생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표에서와 같다.

이 표에 의하면 수확시 3~4 정도의 밀 증상 지수를 갖는 과실을 5개월 이상 장기 저장하면 밀 부위가 갈변하는 정도가 연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나 '델리셔스'에서는 1974년도에는 14.8~66.7%, 그리고 1979년도에는 65.0~83.0%에 달하고, 1984년도에 조사한 '후지'에서는 33.0~57.0%에 달하였다. 따라서 이런 과실은 장기저장을 피하고 바로 판매하거나 단기 저장 후 일찍 판매토록 해야한다. 저장가능기간은 '후지'를 냉장할 경우 밀 증상 지수가 2~3 정도면 무대과는 1월말까지, 유대과는 3월말까지이며, CA 저장인 경우에는 무대과는 2~3월까지, 유대과는 4~7월까지이다. 그리고 밀 증상 갈변지수가 4에 도달된 과실이 많을 경우는 가급적 이 보다 빨리 판매하는 것이 더욱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7. 밀 증상 발생 경감 대책

소비자에 따라서는 밀 증상이 있는 과실을 더 좋아하므로 단기저장 하고자 하는 과실이나 수확 후에 바로 판매하고자 하는 과실은 수확시기를 늦추어 밀 증상의 발생을 촉진한 다음 수확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기 저장할 과실들은 수확시기를 늦추면 내부갈변 장해가 발생하여 상품성이 크게 훼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밀 증상의 경감을 위해서는 수확기 무렵에 햇빛을 잘 받는 위치에서 과실을 채취하여 과실의 밀 증상의 정도를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밀 발생이 많아지기 전에 수확하여 저장하는 대책 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 외국에서는 생육기에 칼슘 수체살포를 수회 하면 밀 증상의 발생정도가 억제된다는 보고도 있으나 일본에서 '델리셔스'로서 시험한 결과에 의하면 6년간의 시험에서 칼슘 수체살포의 밀 증상 억제 효과가 인정된 것은 겨우 2년 밖에 없었다고 하여 칼슘살포효과에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그밖에 최근에 등록된 수확전 낙과방지제 리테인을 관행수확일 4주전에 살포하면 '델리셔스' 과실의 밀 증상 발생이 현저히 억제된다고 한 외국의 시험 결과들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후지' 과실을 사용하여 리테인의 밀 발생 억제 정도를 조사한 시험 결과는 아직 없다.

 

'사과원 관리요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저병 방제 최상의 방법  (0) 2024.08.05
사과 탄저병 방제  (0) 2024.07.31
과수원 냉해피해  (9) 2023.04.27
과수 및 과채류 냉해방지  (29) 2023.04.01
열과방지제,열과예방약 - 열과뚝  (9) 2023.03.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