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안동 시설원예작목반(오이)의 경우 연동하우스로 10년 이상 농사를 짓다보니 가장 큰 문제가 염류장애 및 선충, 연작장해 때문에 제대로 수확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2009년 3월 오이정식 시기 부터 ,생와사비+염류다운+ 생명수+적용약제+발근제을 10일 간격으로 관주한 결과
아래의 사진과 같이 지금은 정상적인 수확을 올리고 있습니다.
염류및 연작장애, 선충은 꾸준한 토양관리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며 농사를 짓는분들의 관심과 노력만이
토양을 개량하여 정상적인 수확을 올릴수 있습니다.
참여 회사 : 주)남보, 주) 국송, 작물보호 연구소, 동운작물 컨설팅
참여 제품 : , 적용약제, 염류다운,뿌리모아.생명수,(90 이상 와사비)........
** 생명수 관주시 꼭 발근제+ 흑설탕을 투입해주시기 바랍니다.
효과( 약 15~20일) 오이 한작기의 경우 15일 간격 3번 정도 관주후
그 다음부터는 15일 주기 생명수(복합 미생물) 만 관주.
생명수::: 5종 이상 복합 미생물(제품 사진첨부 (아래)
생명수는 5종 이상의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선충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이 들어있어 1년 이상 투입시
하우스내 선충 밀도를 감소 시킬수 있습니다.
******토양 선충 방제 요령*****
** 90 이상 생와사비 역활: 선충 기피로 뿌리 접근을 막음(15일 간격 관주)
** 생명수 역활: 선충 포획 미생물 투여로 선충 개체수 감소(15일 간격 관주)
** 선충 적용 약제: (선충엔) 100평당 20cc (10일 간격 관주) 선충을 죽이는 약제
위 3가지 사항을 꼭 지켜 주십시요.(정식 10일부터)
1. 생 와사비+ 선충 적용 약제 관주(선충엔)
2. 1번 관주후 3~4일후 생명수 + 뿌리발근제+ 흑설탕
** 생 와사비만 계속하여 투입시 고사될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 선충방제를 위하여 생와사비 투입시 그냥 물에 넣지 마시고
꼭 망사에 넣으셔서 우려나온물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생 와사비와 생명수는 같이 관주해서는 안되며
시간을 두고 따로 투입해야 합니다. 그리고 생명수 투입시
꼭 발근제(IBA & NNA 성분 투입제품)+ 흑설탕을 관주할시
뿌리 발근 효과를 크게 느낄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김상섭씨 연동하우스를 찍은것으로2009년3월5일 (600평) 정식하여 2009년4월14일
4번째 따는것으로 15kg - 30박스 출하(가시오이)
http://video.naver.com/2009020511265343226
동운 작물 컨설팅 명품 330 작목반
생명수+ 생 와사비 투입전 선충으로 인하여 피해를 받은 오이(선충피해)
생명수+ 생와사비 투입15일후 정상 성장중인 생장점 부근(선충피해)
생명수+ 생와사비 투입15일후 정상 성장중인 전체 모습(선충피해)
선충 피해 사진 및 방제약
토양 선충 억제제(선충 포획 미생물 포함)
(10~15일 주기 관주)
동운바이오, 역병방제, 오이재배력,발근제,뿌리발근제,뿌리성장 촉진제,사과,냉해,냉해박사
고추재배력, 선충방제, 시험포운영,네마톡스,네마다운,오이,연작장해,염류집적
오이테라,칼마F,염류다운,생생토,떼알로,네오팜,생생토,염류장해,서리예방
토마토,착색제,비대제,수량증대,산소수,뿌리발근제
칼슘제,미생물,지력향상,냉해박사,미생물배양
알조코골드, 010 - 3279 - 6137
효과( 약 15~20일) 오이 한작기의 경우 15일 간격 3번 정도 관주후
그 다음부터는 15일 주기 생명수(복합 미생물) +발근제만 관주.
** 토양선충 방제약(선충기피제)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씁니다.
보통 200평 관주 기준 35,000~40,000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1,000평 관주시 175,000~200,000원 정도 듭니다.
생명수는 1,000평 관주용으로 50,000원 정도가 들며
비용기준으로 기존 선충방제 보다 1/4 가격으로 효과를 볼수있는 제품입니다.
"생명수" 관주시 꼭 " 생와사비" 투입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②작물이 생장을 하지 못하고 잎이 누렇게 변한다.
③과실이 매우 작고 질이 떨어지며 수정이 안되고 불량과가 만들어지며 완숙되기 전에 시든다.
④특별한 이유없이 작물이 생기가 떨어지고 잎곰팡이병이 심해진다.
⑤뿌리에 혹이 발견되면 작물이 수분과 영양분을 뿌리로부터 빨아올리지 못하여 심한 생육장애를 입는다.
⑥양질의 생육촉진제를 사용하고도 작물의 생육이 떨어지거나 수확량이 감소된다.
⑦작물의 노화가 빨라지며 수확기간이 짧아진다.
⑧뿌리가 갈변하고 검게 변하면서 세근이 발달하지 못한다.
⑨비료를 과하게 주지 않았는데도 염류장애 증세가 온다.
⑩줄기가 스폰지 같이 푸석푸석하거나 무르는 경우 또는 줄기가 탈색되며 썩는 경우가 있다.
⑪잎이 변형되고 잎 중간중간에 갈색 또는 검은 반점이 생긴다.
외형적인 특징
1) 건강하게 자라던 난초가 탈수현상이 온다.
2) 신아가 크다가 중지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3) 잎에 황변화 조짐이 보이고 갈색으로 변하여 고사
1) 뿌리가 마디져서 상당히 굵고 특정부분에 비대(혹처럼)하게 보인다.
2) 꼭 난석에 눌린것처럼 불룩 또는 오목한데 그 부분이 갈색으로 변해 있으며, 이부분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가는 구멍이 있다.(갈색으로 변한 모양이 시비장애와 비슷하게)
3) 심한뿌리는 외형상으로는 멀쩡한데 만져보면 멜라민층이 없고 근과 표피만 남아있다.
*
선충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토양내 선충밀도를 피해를 미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작물의 생육기 내내 유지하는 것이
토양 생태환경 조성을 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많은 유기물과 유익 미생물 그리고 천연물 자재를 사용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한 예로 유기농업을 지속적으로 한 토양에서는 작물이 식물기생
알려져 있으며
불휘- 2000배액에 침지 또는 관주 (친 환경 미생물 재제를 이용한 살충제-예방 및 치료가능)
1.멀구슬나무 추출물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로서 멀구슬나무는 동남아의 열대 혹은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멀구슬나무의 잎,수피,가지,열매 추출물은 광범위한 해충들에 대하여 기피,섭식저해,성장저해,살충 작용을 보여서 유기농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천영생물농약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또한 한방치료에서는 구충제로 사용하여 왔습니다.
2.너삼 씨앗 추출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너삼(Sophora angustifolia)의 종자에서 에탄올을 추출한 조추출물로서한방에서는 너삼의 뿌리(고삼) 말린 것을 써오고 있습니다.맛이 쓰고 인삼과 같은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치질 등의 치료에 처방해 왔으며, 또한 민간에서는 예로 부터 줄기나 잎을 분쇄하거나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하였습니다.
*여러종류의 알카로이드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마트린,옥시마트린,소포라놀,아나기린,메탈시티진
* 미완숙 퇴비로 인한 토양 유해환경 개선에도 탁월함
* 정식후 선충으로 인한 생육부진 현상을 신속히 개선함
구분 |
희석배수 |
사용농도(1병/200cc) |
정식후 멀칭전 |
500배[50말] |
본제 1병 500배 희석액으로 흠뻑 노수살포 |
생육기 |
1,000배[100말] |
본제 1병 1,000배 희석액으로 토양관주 [동절기 25일, 하절기 20일 간격] |
미완숙 퇴비과용시 |
1,000배[100말] |
100말 기준 본제 1병 + 발근똑소리 2L 혼용 토양관주 |
세력저하시 |
1,000배[100말] |
100말 기준 본제 1병 + 엔조박골드 1L 혼용관주 |
시설참외 연작지 토양의 염류집적 해결과 뿌리혹선충 방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성주 지역 시설참외지의 연작에 대한 토양 특성 및 토양선충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외 연작 년수에 따른 뿌리혹선충의 피해는 연작 3년 이하의 밭에서는 토양 300 mL당 91마리로 적어 피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작 4~6년
3. 경시적인 선충 감염율은 2월에는 감염주율이 15%로 낮았으나 매월
4. 상토원 재료별의 선충 분리비율은 평균 35%이고 서식밀도도 300 mL당 54마리였으며, 논흙과 강변모래에서 검출 점수가 많았고 검출율은 밭흙과 논흙에 많았다.
5. 정식 본포의 토양성분 분석과 선충밀도와의 상관관계는 유효 인산, 치환상 염기는 유의성이 없었고 염농도는 사양토보다 식양토쪽으로 갈수록 3.70 mS/cm에서 5.35 mS/cm로 높았으며, 선충밀도는 사양토로 갈수록 토양 300 mL당 318에서 593 마리로 1.9배 증가되었다. 참외 고사주율도 8월 조사결과 식양토 50%인대 비하여 사양토 85%로 사양토에 갈수록 높았다.
출처: 한국환경농확회
'선충관리&미생물배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충,바이러스,염류집적 해결 방안 (다치엔투) (0) | 2022.05.05 |
---|---|
토양 선충(뿌리혹병류) 관리 (0) | 2015.12.30 |
안동 풍산 참외 시험포(최 재언씨) (0) | 2009.03.17 |
동운바이오 - 뿌리혹선충방제(네마다운) (0) | 2009.02.26 |
[스크랩] 염류장애란 (0) | 2009.01.16 |
댓글